이십공신 종류와 내용

 

< 이십공신 종류와 내용 >


① 개국공신(開國功臣)  

   1392년(태조 1), 이성계를 조선의 국왕으로 추대하는데 공을 세운 공신. 1392년 8월 20일에 공신들의 위차를 정하고, 9월 21일에 공신들을 편전으로 불러 연회를 베풀고 교서와 녹권(錄券)을 내림. 일등공신 배극렴 등 44명

② 정사공신(定社功臣)

   1398년(태조 7, 정종 즉위), 제1차 왕자의 난을 겪으면서 이방석(李芳碩) 세력을 몰아내는데 기여한 공신. 1398년 9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11월에 연회를 베풀고 교서와 녹권을 내림. 일등공신 이화 등 29명

③ 좌명공신(佐命功臣)

   1401년(태종 1),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승리를 거두어 이방원(李芳遠)을 3대 국왕으로 등극시키는 데 기여한 공신. 1401년 1월에 공신의 등급을 4등급으로 정하고, 3월에 연회를 베풀면서 교서와 녹권을 내림. 일등공신 이저 등 47명 

④ 정난공신(靖難功臣) 

   1453년(단종 1), 단종이 재위할 때 수양대군(세조) 세력이 김종서, 황보인, 안평대군 등을 제거하는 계유정난에 공을 세운 공신. 1453년 10월에 수양대군에게 공신호와 식읍(食邑, 토지와 가옥)을 내렸고, 11월에는 정난공신에게 가자(加資, 품계를 더해 줌)하였으며, 1455년 1월에 경복궁 사정전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교서와 회맹축을 내림. 일등공신 수양대군 등 43명  

⑤ 좌익공신(佐翼功臣)

   1455년(세조 1), 계유정난 이후 단종의 보위세력을 몰아내고 수양대군(후의 세조)이 왕위에 오르도록 기여한 공신. 1455년 9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상급을 내림. 일등공신 이중 등 44명 

⑥ 적개공신(敵愾功臣)

   1467년(세조 13), 함길도에서 일어난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은 세운 공신. 1467년 8월과 9월에 공신을 정하고, 11월에 경복궁 인정전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이준 등 44명 

⑦ 익재공신(翊戴功臣)

   1468년(예종 즉위), 유자광 등 훈구세력이 남이를 비롯한 신진세력을 역모에 연루시켜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녹훈된 공신. 1468년 10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1469년(예종 1) 5월에 경회루에서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신숙주 등 37명

⑧ 좌리공신(佐理功臣)

   1471년(성종 2), 성종이 즉위하고 예종의 삼년상을 마친 시점에서 성종을 보필한 공이 있는 신하에게 녹훈한 공신. 1471년 3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1472년(성종 3) 7월에 인정전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녹권을 내림. 일등공신 신숙주 등 73명  

⑨ 정국공신(靖國功臣)

   1506년(중종 1),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중종이 즉위하는데 기여한 공신. 1506년 9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1507년(종종 2) 2월에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박원종 등 116명

⑩ 광국공신(光國功臣)

   1590년(선조 23), 명나라의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이성계의 계보가 잘못 기재된 것을 바로잡는데 기여한 공신. 1588년(선조 21)에 수정된 󰡔대명회전󰡕이 도착했고, 1590년 8월에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윤근수 등 19명 

⑪ 평난공신(平難功臣)

   1590년(선조 23), 정여립의 역모를 사전에 고변하고 처리하는데 공을 세운 공신. 1589년(선조 22) 10월에 황해감사의 비밀보고서를 통해 정여립의 역모 의혹이 제기되었고, 정여립을 비롯한 동인계(東人系) 인사들의 옥사가 일어남. 1590년 8월에 광국공신과 함께 평난공신에게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박충간 등 24명

⑫ 호성공신(扈聖功臣)

   1604년(선조 37),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공을 세운 공신. 전란이 평정되고 나서 1604년 6월에 공신들에게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이항복 등 86명

⑬ 선무공신(宣武功臣)

   1604년(선조 37), 임진왜란 때 전장에서 무공을 세운 장수와 명나라에 주청사(奏請使)로 갔던 사신들의 공로를 인정하여 녹훈한 공신. 전란이 평정되고 나서 1604년 6월에 호성공신과 함께 녹훈됨. 일등공신 이순신 등 18명

⑭ 청난공신(淸難功臣)

   1604년(선조 37), 임진왜란 때 일어난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한 공신. 1596년(선조 29)에 종실 자손인 이몽학이 충청도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홍주목사 홍가신 등이 난을 진압함. 전란이 평정되고 나서 1604년 6월에 호성공신, 선무공신과 함께 녹훈됨. 일등공신 홍가신 등 5명 

⑮ 정사공신(靖社功臣)

   1623년(인조 1), 광해군을 폐위하고 인조를 즉위시키는데 공을 세운 공신. 1623년 윤10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1625년(인조 3) 4월에 융정전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김류 등 53명

⑯ 진무공신(振武功臣)

   1624년(인조 2), 정사공신에서 2등에 녹훈된 것에 불만을 가진 이괄이 1624년 1월에 평안도에서 군사를 이끌고 도성까지 점령했던 이괄의 난을 평정한 공신. 3월에 공신의 위차를 정하고, 1625년(인조 3) 4월에 연회를 베풀면서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장만 등 27명

⑰ 소무공신(昭武功臣)

   1627년(인조 5), 강원도 횡성에서 오랑캐를 정벌한다는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킨 이인거의 난을 진압한 공신. 1627년 11월에 원주목사 홍보 등을 공신으로 녹훈함. 일등공신 홍보 등 5명 

⑱ 영사공신(寧社功臣)

   1628년(인조 6), 인조반정 후 유배되었던 유효립이 광해군을 상왕으로 하고 인성군을 국왕으로 옹립하려는 역모 사건을 고변하고 처리하는 공을 세운 공신. 1628년 3월에 공신으로 정함. 일등공신 허적 등 11명

⑲ 영국공신(寧國功臣)

   1644년(인조 22), 심기원 등이 인조를 폐하고 회은군을 국왕으로 옹립하려는 역모 사건을 고변하고 옥사를 다스리는데 기여한 공신. 1644년 6월에 공신으로 확정하고, 9월에 창경궁 명정전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교서를 내림. 일등공신 구인후 등 8명 

⑳ 보사공신(保社功臣)

   1680년(숙종 6) 녹훈, 1689년(숙종 15) 삭훈, 1694년(숙종 20) 복훈. 숙종 재위 초인 경신년(1680)에 허적의 아들 허견이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과 함께 도모한 역모 사건을 사전에 고변하고 처리하는 데 공을 세운 공신. 이 사건으로 남인 세력이 축출되고 서인 세력이 다시 집권하게 됨. 1680년에 녹훈(錄勳)되었으나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여 삭훈(削勳)되었으며,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정권을 잡으면서 복훈(復勳)됨. 일등공신 김석주 등 6명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벨라루스대사에 박두순 현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임명

2020년 7월 「이달의 기능한국인」 해인기업㈜ 조해현 대표이사

거대 황금 불두상과 누워있는 불상으로 유명한 용인 와우정사